728x90
반응형
리눅스는 윈도우와 같은 GUI(Graphic user interface)가 아닌 CLI(Command line interface)을 지원하는 걸 잘 아실겁니다!
영화 속에 나오는 해커들이 해킹을 하는 장면들을 보고 대부분의 사람들은 CLI에 대해 어려움을 많이 느끼시는 거 같아서 리눅스에서 사용되는 기본 명령어에 대해 분석해봤습니다!
LINUX 기본 명령어 종류
명령어 | 설명 | 기본 옵션 |
login | 리눅스 시스템에 로그인하는 과정 | -f [user] : 이미 인증 완료이면 인증 절차 무시 후 진행 -h [hostname] : 원격 로그인 -p : login 시 이전 환경을 그대로 사용 |
passwd | 리눅스 패스워드 변경 | -l : 계정 사용을 막음 -u : 계정 사용을 풀어줌 -S : 계정에 대한 내용을 상세히 보여줌 -d : 계정에 암호를 삭제한다 -n : 암호를 변경 후 최소로 사용해야 하는 날짜 수를 지정 -x : 현재 암호의 유효기간 설정 -w : 암호 만료 전 경고 날짜 설정 -i : 암호 만료 후 로그인 불가능 시간 설정 -e : 다음 로그인 시 패스워드 변경하도록 하는 설정 |
df | 하드사용량 체크 | -a : 모든 파일시스템 출력 -B : 지정용량을 블럭단위로 출력 -h : 보기 편한 용량크기로 출력 -H : 블럭 단위가 1000단위로 출력 -i : 남은 공간, 사용 공간, 사용량을 출력 |
ls | 파일 리스트 출력 | |
cd | 디렉토리 변경 | |
cp | 파일 복사 | |
ps | 프로세스 관리 | -e : 세션 리더를 제외하고 데몬 프로세스처럼 터미널에 종속되지 않은 모든 프로세스를 출력 -f : full formet 으로 출력 a : 터미널과 관련된 모든 프로세스 출력 u : 사용자 중심으로 출력 x : 터미널 제어 없이 프로세스 현황을 출력 |
mv | 파일 이동 | |
rm | 파일 삭제 | |
mkdir | 디렉토리 생성 | |
rmdir | 디렉토리 삭제 | |
pwd | 현재 위치 출력 | |
chmod | 파일의 권한 설정 | |
alias | 단축키 설정 | |
cat | 파일의 내용을 터미널로 출력 | |
more | 파일의 내용을 터미널로 출력(스크롤을 생성해줌) | |
who | 현재 시스템 사용자의 리스트를 출력 | |
whereis | 소스 등의 위치를 출력 | |
vi | vi editor 시작 | |
touch | 빈 파일 생성 | |
head | 파일의 헤더부분만 출력 | |
tail | 파일의 테일부분만 출력 | |
tar | tar 확장자 파일로 압축 혹은 압축 해제 | |
gzip | gz / z 확장자 파일을 압축 혹은 압축 해제 |
반응형
'Linux > Linux 기본 명령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LINUX) - 프로세스 관리 및 정보 추출하기, ps 명령어 (ps) (0) | 2021.01.10 |
---|---|
리눅스(LINUX)-기본 명령어 LS, 옵션 정리 (0) | 2019.11.11 |
리눅스(LINUX) - 파일 및 디렉토리 찾기 (find) (0) | 2019.11.07 |
리눅스(LINUX) - 소유권 및 권한 변경(chmod, chown, chgrp) (0) | 2019.11.03 |
리눅스(LINUX) - 여러 파일 이름 변경하기 (rename) (0) | 2019.1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