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Linux) - 기본 명령어 분석하기 (Linux Basic CLI) 리눅스는 윈도우와 같은 GUI(Graphic user interface)가 아닌 CLI(Command line interface)을 지원하는 걸 잘 아실겁니다! 영화 속에 나오는 해커들이 해킹을 하는 장면들을 보고 대부분의 사람들은 CLI에 대해 어려움을 많이 느끼시는 거 같아서 리눅스에서 사용되는 기본 명령어에 대해 분석해봤습니다! LINUX 기본 명령어 종류 명령어 설명 기본 옵션 login 리눅스 시스템에 로그인하는 과정 -f [user] : 이미 인증 완료이면 인증 절차 무시 후 진행 -h [hostname] : 원격 로그인 -p : login 시 이전 환경을 그대로 사용 passwd 리눅스 패스워드 변경 -l : 계정 사용을 막음 -u : 계정 사용을 풀어줌 -S : 계정에 대한 내용을 상세히 .. Linux/Linux 기본 명령어 4년 전
리눅스(LINUX) - 프로세스 관리 및 정보 추출하기, ps 명령어 (ps) 원도우에 작업 관리자가 있다면 리눅스에는 ps명령어가 있겠죠?! 리눅스 환경은 다양하다 보니 ps 명령어를 사용하여 느려지는 리눅스 원인을 파악하기 용이하죠. ps 명령어에 많은 옵션들이 있는데 옵션에 대해 자세히 알게되면 적재적소에 필요한 옵션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자 그럼 한번 ps 명령어에 어떤 옵션들이 있는지 확인해볼까요~ 아참 본문에 들어가기에 앞서 한가지 미리 알아야 될 사항이 있습니다. ps 명령어 옵션은 유닉스 계열에 따라 약간씩 차이가 있는데요. System V, BSD, GNU 계열에 따라 출력이나 옵션의 형태가 약간씩 다릅니다. 일반적으로 아래와 같이 사용됩니다. System V 계열은 대시(-) BSD 계열은 대시를 사용하지 않음. GNU에서는 대시 두개(--) 일단 help 명령.. Linux/Linux 기본 명령어 4년 전
리눅스(LINUX)-기본 명령어 LS, 옵션 정리 ls 명령어 리눅스 기본 명령어인 ls 명령어는 어떤 디렉토리 안에 파일의 리스트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해주는 명령어로 리눅스를 조금이라도 아는 사람이면 다들 알고 있는 명령어이다. 제일 많이 사용 옵션이 아마 -a, -l 이 아닐까 싶다. 실제로는 ls에도 많은 종류의 옵션이 있으니 차근차근 알아보도록 하자. CMD창에 man ls를 입력하면 하래와 같은 설명이 나온다. 이를 요약해보면... ls [option]... [file]... option -a, --all : 해당 디렉토리의 전체 파일을 출력 . .. 도 포함 -A, --almost-all : 해당 디렉토리의 전체 파일을 출력 . .. 미포함 --author : -l 옵션과 항상 같이 쓰며 파일및 디렉토리의 작성자 이름을 표시 -b : ? --.. Linux/Linux 기본 명령어 5년 전
리눅스(LINUX) - 파일 및 디렉토리 찾기 (find) Find 명령어 GUI 기반인 윈도즈와는 달리 리눅스에서는 Terminal을 사용하기 때문에 파일 및 디렉터리를 찾기가 쉽지 않습니다. 이럴 때 find 명령어를 잘 사용한다면 사용 편의성이 좋아집니다. find 명령어에는 여러 옵션들이 존재하는데 천천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리눅스 Terminal에 man find를 입력하면 아래와 같은 Manual이 출력된다. 위의 Manual을 요약해보면... find [-P] [-L] [-H] [-D] [starting-point] [expression] P : 심볼릭 링크를 따라가지 않고, 심볼릭 링크 자체 정보 사용. L : 심볼릭 링크에 연결된 파일 정보 사용. H : 심볼릭 링크를 따라가지 않으나, Command Line Argument를 처리할 땐 예외.. Linux/Linux 기본 명령어 5년 전
리눅스(LINUX) - 소유권 및 권한 변경(chmod, chown, chgrp) samba를 통해 리눅스 파일들을 윈도우에서 수정하도록 개발 환경을 만들어 놓고 개발하는 경우가 더러 있는데 그럴때마다 원도우에서 저장한 파일이 리눅스 파일의 소유권 혹은 권한을 임의로 변경하는 경우가 있다. 그럴때마다 리눅스에서 변경을 해줘야 해서 골치가 아팠었다. 사실 samba 설정을 해주면 문제가 해결되지만 samba 설정 관련 내용은 추후 게재하도록 하고 리눅스에서 파일 권한이나 소유권 변경을 할 방법에 대해 적어 보도록 하겠다. ls -la 명령어를 통해 파일 목록들을 살펴보면 아래 와 같은 모습으로 터미널에 표시가 된다. 1. -rwxrw-r-- walter walter ... 2. -rw-rw-rw- root root ... 3. drwxrw-rw- root root ... 파일의 사용권한.. Linux/Linux 기본 명령어 5년 전
리눅스(LINUX) - 여러 파일 이름 변경하기 (rename) 일반 적으로 리눅스 환경에서 파일 변경하기 위해서는 mv 명령어를 사용한다. mv (변경하고자하는 파일명) (변경할 파일명) 만약 test.txt 파일을 test_1.txt로 변경 시 => mv test.txt test_1.txt 그런데 동일한 형식의 확장자나 prefix 등을 변경해야 하는 경우가 종종 생기기 때문에 rename이란 명령어를 알아 놓으면 좀 더 편한 업무 환경을 만들 수 있다. rename 명령어는 regex를 통해 동작하기 때문에 regex를 공부한다면 단순 반복 업무를 상당히 빠른시간 내에 처리할 수 있게 된다. rename 's/(.변경하고자하는 text)/(.변경할 text)' (찾을파일) *.txt 파일을 모두 *.c 파일로 변경하기 위해서 => rename 's/.txt/.c.. Linux/Linux 기본 명령어 5년 전